사전소개

닫기

『이두사전』은 『한국한자어사전』 속에 들어 있는 이두 항목을 기초 자료로 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이두 자료 전체를 대상으로 이두를 채록하여 우리나라 이두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사전이다.

이두는 삼국시대부터 20세기 초기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문자 생활의 수단이었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이두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였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관공서의 행정을 처리하기 위한 중요한 기록 수단이었으며, 민간에서도 경제 활동 등 사회 활동을 위한 기록 수단이었다. 이러한 까닭에 이두를 사용하여 기록된 자료에는 우리의 근원적인 역사와 문화 관련 정보가 담겨 있다.

우리의 『이두사전』에서는 이두를 구성한 형태소를 그 의미와 기능에 따라 체계적으로 파악한 다음, 이두의 독음과 현대어 풀이를 제시하였다. 가급적 지금까지 알려진 이두 자료 전체를 대상으로 『이두사전』의 표제 항목을 발굴하였고, 이두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용례를 발굴하여 제시하였다.

본 서비스를 통해 이두 4,237개, 이두 용례 12,208개를 제시하였다.

  • 1. 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이두 자료 중에서 종이 형태이거나 디지털화되어 공개된 자료를 대상으로 이두를 채록하였다. 『한국한자어사전』에서 이두로 설정한 것은 모두 수용하였다.
  • 2. 자료 파손으로 문맥이 완전하게 보존되지 않은 이두 자료는 채록 대상에서 가급적 제외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고려 초기의 중요한 이두 자료인 <釋迦塔重修記>와 <佛國寺无垢光淨塔重修記>등을 이두 채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3. 향찰 표기는 우리말에 대한 완전한 표기체계이므로 향찰 자료는 이두 채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4. 통일신라 시대 이전 이두 항목의 경우 15세기 언어에 기반하여 독음을 추정하여 제시 하되 독음의 앞에 ‘☆’표시를 부기하였다.
  • 5. 사전의 표제자 찾기 기능은 검색창에서 찾거나 좌측의 ‘부수로 찾기’, ‘총획수로 찾기’, ‘이두음으로 찾기’, ‘한자음으로 찾기’, ‘글자별 찾기’로 이루어져 있다.
  • 6. ‘이두학습서 제시음’의 내용은 전해져 오는 이두 학습서에서 제시한 것을 정리한 것이다.
  • 7. ‘현대어풀이’의 내용은 표제 이두가 나타내는 의미를 현대어의 어법에 맞게 풀이한 것이다.
  • 8. ‘형태소분석’의 내용은 표제로 제시한 이두를 구성한 형태소를 분석하여 제시한 것이다.
  • 9. ‘용례’ 뒤의 내용은 표제로 제시한 이두가 출현한 용례를 제시한 것이다.